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ko/기초 수학/자릿수.md
+1-1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24,7 +24,7 @@ N = 10000 [양수]
24
24
3. N을 10으로 나눈다.
25
25
4. N이 0이 될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26
26
27
-
**알고리즘 분석:** 위 방법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수는 숫자 N의 자릿수와 같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의 시간 복잡도는 $O(자릿수)$이다.
27
+
**알고리즘 분석:** 위 방법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수는 숫자 N의 자릿수와 같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의 시간 복잡도는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O(d)">이다.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d">는 숫자 N의 자릿수)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ko/자료구조/그래프/벨먼-포드 알고리즘.md
+10-11Lines changed: 10 additions & 11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2,15 +2,15 @@
2
2
3
3
## 문제
4
4
5
-
방향 가중치 그래프 $G(V,E)$와 시작점 $s \in V$가 주어졌을 때, 각 점 $v \in V$에 대하여 $s$와 $v$를 잇는 가장 짧은 경로를 구하라. ($V$는 꼭짓점의 집합, $E$는 간선의 집합)
5
+
방향 가중치 그래프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G(V,E)">와 시작점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s \in V">가 주어졌을 때, 각 점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v \in V">에 대하여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s">와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v">를 잇는 가장 짧은 경로를 구하라.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V">는 꼭짓점의 집합,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E">는 간선의 집합)
6
6
7
7
## 절차
8
8
9
9
1. 시작점에서 모든 꼭짓점까지의 거리를 무한대로 초기화한다.
10
10
2. 시작점으로의 거리를 0으로 초기화한다.
11
-
3.`dist[s]`를 제외한 모든 값을 무한대로 하는 크기가 $|V|$인 `dist`라는 배열을 만든다.
12
-
4. 다음을 $|V|-1$회 반복한다.
13
-
5.$E$에 속한 모든 간선 `(u,v)`에 대해 다음을 반복한다:
11
+
3.`dist[s]`를 제외한 모든 값을 무한대로 하는 크기가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V|">인 `dist`라는 배열을 만든다.
12
+
4. 다음을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V|-1">회 반복한다.
13
+
5.<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E">에 속한 모든 간선 `(u,v)`에 대해 다음을 반복한다:
14
14
15
15
```
16
16
dist[v] = minimum(dist[v], dist[u] + weight of edge)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ko/자료구조/배열/배열.md
+3-6Lines changed: 3 additions & 6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2,16 +2,13 @@
2
2
3
3
배열은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이다. 배열은 정적 배열과 동적 배열로 나눠진다. 정적 배열은 요소의 수가 고정되어 있고, 각각은 메모리의 동일한 공간을 차지한다. 즉, 정적 배열이 차지하는 메모리는 컴파일 시간에 결정되지만, 동적 배열의 경우 크기가 고정되지 않는다.
4
4
5
-
배열 요소의 값은 `O(1)` 시간 안에 검색할 수 있다.
5
+
배열 요소의 값은 <imgsrc="https://render.githubusercontent.com/render/math?math=O(1)"> 시간 안에 검색할 수 있다.
0 commit comments